이제 곧 2024년이 다가오는데요. 새해가 시작되면 산업안전보건 관련법에 관한 서류들을 다시 한번 준비를 시작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역시나 계획을 잡는 것인데요. 오늘은 산업안전보건관리 추진계획서 작성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 관리추진계획서
안전보건관리자 또는 총무 담당자는 매년 산업안전보건관리 추진계획서를 작성해야합니다. 이는 공단점검, 노동부점검 중 가장 먼저 확인하는 문서 중 하나로 1년간 진행해야 하는 업무를 정리하여 확인하는 자료로 사용이 됩니다.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액셀 또는 PPT로 기본적인 양식을 구성하는 것이 가장 간단합니다. 첫번째 페이지에서는 회사의 사업장 명과 결제 서식을 첨부하여 계획서에 대한 공식화를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해당 내용에 첨부되어야 하는 부분도 사업장 규모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우리 사업장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작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예를 들어 50인 이상 과 50인 미만의 경우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선임해야하느냐 하지 않아도 되느냐가 달라지는 것처럼 업무 역시 달라지기 때문이죠.
목표 및 관련 업무 구성
첫 번째로는 목표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관리추진계획서를 작성하는 이유를 포함시키는 것인데요. 왜 계획서를 만들고 관리하는지 이유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죠.
만약 사고가 있었던 사업장이라면 재해율을 관리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어떻게 관리를 하여 사고를 방지할 것인지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표 설정의 세부내용 구성
- 안전사고 및 재해율 관리
- 인적대상의 불안정한 행동 근절 및 의식 교육
- 물적 대상 ( 기계, 설비 등 )의 불안전요소 조치 및 안정성 확보
- 무재배현장 달성을 통한 안전환경 분위기 조성
- 자율 안전관리 수준 향상 및 사업체 안전성 관리
기본적인 세부 내용은 정확한 목표와 관리항목에 대한 설계를 우선적으로 하여 목표를 구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큰 틀을 구성하지 않을 경우 세부내용은 제대로 구현화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사항을 가장 먼 거 작성하는 것이 업무의 효율성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죠.
업무 / 임무 부여
큰 틀을 구성했다면 조직에 대한 임부를 부여하여 해당 업무를 맡은 직책이 제대로 관리를 할수 있도록 임무의 역할을 정확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임무가 부여되는 직책으로는 산업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관리담당자, 관리감독자 등이 가장 기본적인 직책이며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위원들에 대한 임무 역시 추가로 관리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산업안전추진계획서 작성 방법
산업안전추진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관련 사업장의 규모를 먼저 파악하여 법령요지에 맞게 해당 사업의 법규를 적용시켜야 합니다.
기본적인 카테고리는 안전, 보건, 설비, 소방, 환경 등으로 구성하고 일 / 주 / 월 / 분기 / 반기 / 년 단위의 계획을 하나씩 채워가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
특히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업무의 경우 업무를 진행이 마무리가 될 경우 업무를 실시한 날짜를 계획서에 표기하여 업무가 진행이 되었는지 확인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무리 계획을 잘 잡아도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업무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소방 업무의 경우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문서들이 존재하는데 이를 놓치게 되면 과태료 대상이 되기 때문에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추진계획서 관련 내용 정리
- 안전보건관리 교육
- 산업보건위원회 운영
-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
- 중대재해 관리 체계 운영
- 정기, 신규, 작업 변경 시 안전교육
- 설비 관리 이력
- 관리감독자 교육
- 소방시설관리
- 소방계획서 작성
- 안전검사
- 작업표준서 및 안전표시 수칙 작성
- 위험성평가
- 유해요인조사표 작성
- 화학물 관리
- 비상사태 시나리오
- 작업환경측정
- 대기/폐수자가측정
- 건강검진
'법령정책 > 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폐공간 작업프로그램 작성방법, 사고예방관리 (1) | 2024.01.05 |
---|---|
비상상태 시나리오 작성 방법 ( 홍수, 화재, 침수, 전기 , 안전사고 양식첨) (0) | 2024.01.02 |
업무상 재해 기준, 출퇴근 사고, 회식 등 산재처리 어디까지 가능할까 (1) | 2023.12.18 |
지게차안전작업계획서 작성방법, 양식 간편정리 (1) | 2023.12.11 |
중대재해처벌법 대상 기준 , 점검 의무 사항 (0) | 2023.11.29 |